본문 바로가기
살다가 가끔 궁금한 것들

재난적의료비지원, 지원대상, 지원금액, 신청방법

by 궁금한 사자 2023. 3. 23.
반응형

재난적 의료비지원이란?

과도한 의료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겪는 가구에 의료비를 지원해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고, 국민의 의료 접근성을 보장하며, 국민건강보호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원사업입니다. 

 

재난적 의료비지원 대상여부확인 및 지원 예상금액 모의계산 바로가기 

 

 

재난적의료비지원 지원대상  

- 대상 질환 : (입원) 모든 질환, (외래) 중증질환(본인부담산정특례 등록된 경우에 한함)

* 중증질환: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희귀 질환, 중증난치질환, 중증화상, 중증외상
** 중증외상은 외래진료개시일이 2022.1.1. 이후인 자부터 적용

 

- 소득기준 : 기준중위소득 100%(소득하위 50%) 이하 대상

* 가구원수별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대상여부 판정

 

- 재산기준 : 지원대상자가 속한 가구의 재산 과세표준액이 7억 원 이하

 

- 의료비 부담 수준 (소득기준에 따라 결정)

소득수준 의료비부담수준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타 법에 의한 의료급여 수급권자 제외)
본인부담의료비 총액이 80만원 초과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1인 가구 : 120만 원 초과
그 외 가구 : 160만 원 초과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본인부담의료비 총액이 연소득 대비 10%초과

* 본인부담의료비총액 = 급여일부본인부담금 + 전액본인부담금 + 비급여 - 지원제외항목

* 본인부담의료비총액 10% 초과 기준금액 (바로가기)

 

 

개별심사를 통한 지원

재난적 의료비지원대상 기준을 다소 못 미치거나, 초과하더라도 반드시 지원이 필요한 사례의 경우 심사를 통해 선별 지원

- 기준중위소득 100% 초과 200% 이하 가구로서 의료비 부담이 큰 경우
- 중증질환 외의 질환으로 고액 외래 의료비가 발생한 경우
- 지원 상한을 초과하는 고액 의료비가 발생 한 경우

 

 

지원금액

소득기준에 따라 지원제외항목을 차감한 본인부담 의료비(건강보험 적용된 본인부담금 제외)의 50~80% 차등 적용

소득수준 지원비율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타 법에 의한 의료급여 수급권자 제외)
80%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70%
기준중위소득 50% 초과~100% 이하 60%
기준중위소득 100% 초과~200% 이하(개별심사) 50%

* 지원상한금액 : 연간 3천만 원 한도 (다만,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개별심사를 통해 최대 1천만 원 추가 지원가능)

* 지원상한일수 : 동일 질환별 입원진료 일수와 외래진료 일수의 합이 연간 180일 이내

* 지원금계산법 : (예비·선별급여 등의 법정본인부담금 + 전액본인부담금 + 비급여 – 지원제외항목 – 국가·지방자치단체 지원금, 민간보험금 등) X 지원비율(50~80%)

 

 

지원제외

-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거나 대체진료와 비용편차가 큰 치료, 제도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의료비 제외  (제외항목 바로가기)

* 미용·성형, 특·1인실, 간병비, 한방첩약, 요양병원에서 발생한 의료비, 다빈치로봇수술, 도수치료, 보조기, 증식치료 등

 

- 국가·지자체 지원금 및 민간보험금(실손) 수령(예정) 액 차감 후 지원 (지원제한사유 바로가기)

* 중복수급 확인 시 환수 

 

 

재난적 의료비지원 신청방법 및 신청기한

- 신청방법 : 환자 또는 대리인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 방문하여 지급 신청

- 신청기한 : 퇴원일(최종진료일) 다음날부터 180일(토·공휴일 포함) 이내 

 

 

재난적의료비지원 신청서류

* 이외 해당자 관련 서류를 별도 요구할 수 있습니다. 

 

2023년_재난적의료비_지원사업_신청서식(1_20호)_홈페이지용.hwp
0.16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