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다가 가끔 궁금한 것들

국민연금 임의가입, 임의가입 대상, 가입방법, 가입이유, 예상 납부보험료와 예상 연금액

by 궁금한 사자 2023. 4. 1.
반응형

 

국민연금 임의가입제도란? 

국민연금 의무가입 대상이 아닌 자가 본인이 희망하여 국민연금에 가입해 노령, 유족, 장애연금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한 제도입니다. 

 

 

국민연금 임의가입 대상 

- 국내 거주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 국민으로서 사업장가입자 및 지역가입자가 아닌 자
-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가입자 및 수급권자의 소득 없는 배우자
- 기초생활수급자
- 퇴직연금 등 수급권자

 

국민연금 임의가입 대상 제외 

- 18세 미만 및 60세 이상자 
- 외국인
- 타공적연금 가입자
- 국민연금 가입자
- 조기노령연금수급권을 취득한자
- 노령연금수급권을 취득한 60세 미만의 특수직종근로자 

 

 

국민연금 임의가입 방법 

 

- 국민연금 홈페이지 > 전자민원서비스 > 개인서비스 > 신고, 신청  (바로가기

 

- 국민연금 모바일앱 > 로그인 > 신고,신청 

 

- 전화신청 (국민연금 고객센터: 1355) 

 

 

국민연금 임의가입한 이유 

- 연금보험료 납부기간 10년 이상인 국민연금 수령 요건을 만족하기 위해

- 만 60세 까지 꾸준히 납부하여 만 65세 이후 수령할 연금액을 늘리기 위해

- 노후를 위해 개인적으로 다른 연금을 준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퇴직 전까지 꾸준히 납부되고 있던 국민연금에 집중

 

개인적인 사유로 퇴사 후 잠시 쉬는 기간을 갖고, 현재는 출산과 육아로 언제쯤 재취업할지 확정할 수 없기 때문에 국민연금 임의가입으로 국민연금 납부를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소득이 없는 상태이니 최소 보험료인 월  9만 원씩 자동이체로 빠져나가도록 지정해 두었습니다.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니 국민연금 납부기간이 총 92개월로 국민연금 수령요건 (10년)을 충족하지 못하기도 했고, 현재까지 납부한 금액과 딱 10년까지 월 9만 원씩 납부하는 것으로는 만 65세 이상이 되어 연금 수령 시 연금액이 30만 원 중반대정도로 금액이 너무 적어 노후에 도움이 되지 못할 듯싶어 꾸준히 만 60세까지 납부하여 연금 수령 시 연금액을 늘리고자 했습니다. 언제가 될지 확정할 수는 없지만 가까운 미래에 재취업을 하게될 테니 그때부터는 임의가입자가 아닌 사업장가입자로 강제로 월급에서 빠져나갈테고, 월 9만원 보다는 많은 보험료를 납부하게 될테니 지금 계산한 예상 연금보다는 연금액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예상납부보험료와 예상연금액  (예상연금 모의계산 바로가기)

 

 

저의 기준으로 그동안 납부한 연금보험료와 앞으로 만 60세까지 월 9만 원씩 납부한다는 가정으로 계산한 총 예상납부보험료는 44,916,600원입니다. 연금수령 개시부터 받게 될 예상연금액은 월 720,570원 (연 8,656,840원) 인데요, 연금 수령 개시 후 약 5년 정도 지나면 총 예상납부보험료 보다 많은 연금액을 수령하게 됩니다.  

 

노후에 조금이라도 더 여유 있게 살 수 있도록 얼른 재취업해서 연금보험료도 조금 더 높이고, 오래오래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건강관리도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