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 후 무직 상태인 경우 퇴사 증명 또는 무직 상태임을 증명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 대표적으로 주택청약 시 제출하는 기본 서류 중 퇴사 또는 무직 상태임을 증명하기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를 제출하는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해당 경우 발급받은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상 주민등록번호가 모두 표시되는 서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발급받는 4가지 방법과 주민번호 모두 표시된 서류를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발급받는 방법 4가지
1. 인터넷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발급 -> 주민번호 뒷자리 별표 표시
2.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팩스로 발급 -> 주민번호 뒷자리 모두 표시 가능
3. 주민센터 등 무인민원발급기를 통해 발급 -> 주민번호 뒷자리 모두 표시 가능
4.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를 방문하여 발급 -> 주민번호 뒷자리 모두 표시 가능
현재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를 발급받는 방법은 위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인터넷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발급받는 경우

포털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을 검색 후 홈페이지 메인화면으로 들어가면 위 사진과 같이 화면이 구성됩니다. 방문자별 맞춤 메뉴상 자격득실확인서 발급 버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발급하는 경우 공동인증서가 필요하니 미리 준비 두시면 신속하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발급받는 경우 위와 같이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가 별표로 표시되어 발급됩니다. 주민번호 표시 또는 미표시를 선택하는 옵션이 없기 때문에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서는 주민번호 뒷자리가 별표로 표시된 서류만 발급 가능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팩스로 발급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1577-1000으로 문의하거나 카카오톡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문의하여 팩스로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주민등록번호 모두 표시를 요청하여 발급받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만, 가정에 팩스가 없는 경우 인터넷이나 모바일 팩스를 이용해야 하거나 팩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장소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팩스로 발급받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주민센터 등 무인민원발급기를 통해 발급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등을 방문하면 입구 쪽에 무인민원발급기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무인민원발급 기상 첫 페이지에서 국민건강관리공단 버튼을 누르면 국민건강관리공단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는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자격등실확인서도 발급 가능하며 주민번호가 모두 표시된 서류로도 발급 가능합니다.
단, 발급 절차 진행 시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에서 지문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있어 불편을 경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른쪽 엄지손가락을 다쳤거나, 손가락이 건조한 경우 또는 습한 경우, 세월이 흐르면서 지문이 닳아 흐려지는 경우 등 지문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해당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직원에게 문의하여 지문을 재등록하는 등의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를 방문하여 발급
마지막 방법으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를 직접 방문하여 발급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직접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가장 확실하게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방문하여 창구직원에게 주민번호 표시된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발급을 요청하면 위 사진과 같이 주민등록번호가 모두 표시된 서류를 즉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단, 발급 요청 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신분증 제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저 역시 주민등록번호가 모두 표시된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가 필요해 처음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발급하여 주민번호 별표 표시된 서류 발급으로 한번 실패를 하고,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이메일로 받아보려고 했다가 팩스가 필요해서 두 번째 실패를 하고,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무인민원발급기로 발급받으려고 하다가 지문이 잘 읽히지 않아 세 번째 실패를 하고, 결국 택시를 타고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를 방문하여 발급받게 되었습니다. 서류 한 장이 필요한 건데 3번을 실패하고 3시간을 허비하고 결국 마지막에 원하는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었습니다.
주민번호가 모두 표시된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가 필요하시다면 위 4가지 방법 중 본인에게 가장 유리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한 번에 발급받으시기를 바랍니다.
'살다가 가끔 궁금한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 친환경농산물지원사업 신청기간, 지원대상, 지원내용,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꾸러미 (0) | 2022.01.22 |
---|---|
국민행복카드 신청, 베팡에서 국민행복카드 신청 (0) | 2021.12.22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산후 도우미 지원, 산후 도우미 지원 신청, 산후 도우미 지원 비용 (0) | 2021.10.07 |
자동차보험 자녀할인, 자동차보험 태아할인, 임산부 자동차보험 할인 (0) | 2021.10.04 |
시험관 아기 시술 과정, 시험관 시술, 배란유도, 난자채취, 배아이식, 혈액검사 (0) | 2021.10.02 |
댓글